<편집자주> ‘금융’이란 말의 이미지는 차갑다. 종종 '약탈적'이란 수식어가 붙기도 한다. 그러나 금융에 인간의 체온을 불어 넣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사회적 금융기관들이다. 특히 미국의 대형재단 등 비영리단체들은 기부에 투자, 융자 등 금융 기법을 활용해 사회적 가치 창출에 레버리지를 일으키고 있다. 사회적기업 이로운넷의 에디터들이 다녀온 미국 사회적 금융 현장을 머니투데이가 3편에 거쳐 소개한다.

<사진설명> 뉴욕 SIB 시행하는 오스본협회의 리즈 게인즈 대표

?지난 8월 탐방단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미국 뉴욕의 SIB 시행기관인 오스본협회를 방문했다. 실제 공공서비스가 이뤄지고 현장의 살아있는 이야기를 듣기 위해서였다. 이곳 CEO인 리즈 게인즈 여사는 이것저것 질문공세를 퍼붓는 한국의 손님들에게 SIB의 현장 이야기를 거침없이 들려줬다.


게인즈 CEO와 이야기를 나누며 가장 궁금한 부분은 다름 아닌 ‘돈 문제’였다. 사실 국내에서도 비영리기관을 운영하는 데 가장 큰 난관이 바로 ‘안정적인 운영자금’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공공서비스에 민간자금을 끌어들인 SIB의 경우는 어떨까. 실제 서비스기관들의 자금 안정에 도움이 되는 것일까.

그는 “어차피 3년 뒤면 어디에서 어떻게 자금을 지원받을지 고민하는 건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SIB는 사회적기업이나 비영리단체의 자금 문제를 ‘반쯤’ 해결해줬다는 것이다. 그는 “우리 기관의 경우 SIB프로그램을 통해 해마다 240만달러(우리돈 약 28억원)씩, 모두 720만달러 정도를 지원받게 돼 있다”며 “그 3년 동안은 자금 걱정을 덜겠지만, 길게 보면 결국은 달라진 게 없다”고 덧붙였다.

그가 SIB프로그램에 대해 진짜 아쉬움을 토로한 부분은 따로 있었다. 정부와 골드만삭스가 이미 주된 협정을 마친 뒤에야 오스본과 같은 시행기관이 선정되는 방식 때문에, 정작 현장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들은 애초부터 협상이 불가능한 상황에 놓이게 됐다는 점이다.

그는 “지금처럼 현장 기관들이 위에서 미리 짜놓은 예산에 끼워 맞춰 서비스를 시행하는 대신, 프로그램을 구상하는 단계에서부터 목소리를 내고 예산안을 협의했다면 더 효율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모든 이해관계자가 각자의 역할을 다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때 SIB의 성공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는 것이다.

키워드
#slider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