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일자리위원회

일자리위원회가 ‘환경분야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의결하고 내후년까지 사회적경제기업 약 1,400개 육성 및 일자리 약 13,000개 창출을 전략으로 세웠다.

대통령직속 일자리위원회는 22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제16차 일자리위원회를 개최하고, ‘해양수산 고용안정 및일자리대책 추진방향,’ ‘환경분야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을 상정?의결했다. 일자리위원회는 이번 회의를 통해 ‘위드(With) 코로나19 시대’에 대비하고 해양수산, 환경 등 각 분야에서 한국판 뉴딜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데 역점을 뒀다고 밝혔다.

‘환경분야 사회적경제 일자리 창출방안’에서는 신산업·환경문제 해결·환경 서비스 등 변화된 시장에서의 사회적경제기업 진출을 확대하고 전 단계별 육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해양수산 일자리대책 추진 방향’에서는 연안·어촌의 민간 SOC 투자 확대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스마트항만 도입 등 해양 수산분야의 디지털 생태계를 조성 방안을 담았다.

환경분야 사회적경제 일자리 창출방안 추진 배경은 최근 정부가 한국판 뉴딜의 한 축으로서 그린뉴딜을 내세운 것과 접목된다.

일자리위원회는 그동안 “마을주민이 운영하는 생태관광, 폐기물 문제해결을 위한 업사이클 등 일부 사회적경제 성공사례 창출하였으나 부분적 성과에 그쳤다”며 “사회·경제의 녹색전환 속에서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환경·사회적 가치도 추구하는 환경분야 사회적경제조직의 혁신성장 추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위원회에 따르면 현재 환경 분야 주요 사회적경제조직은 총 830개소다. 이 중 사회적경제기업이 425개소, 소셜벤처형 업사이클업이 405개소로, 업사이클 분야가 48.8%, 폐기물 분야가 27%를 차지한다. 일자리위원회는 업사이클, 생물소재, 녹색제품, 에너지분권화 등 ‘신산업’ 분야와 생태관광, 친환경 산행도시락, 환경교육 등 ‘서비스’ 분야도 도 진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 소규모수도시설 관리의 자활기업 전환 등 환경문제 해결 과정에 참여를 확대하게 추진한다고 전했다.

환경 분야 사회적경제기업은 425개소로, 2018년 기준 전국 사회적경제기업 2만2,703개 중 1.9% 수준이다. 디자인=윤미소

사회적경제기업 육성 인프라 강화도 언급했다. 환경분야 사회적경제조직 지원을 위해 올해 60억원으로 확대 편성했다. 또한, ‘미래환경산업펀드’의 주목적 투자범위를 조정해 환경형 사회적경제기업을 포함시키고 2022년까지 약 2천억원으로 조성규모를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환경적 가치를 평가할 지표도 하반기에 개발한다.

아울러, 이날 회의에서는 청년, 지역, 플랫폼 노동 등 일자리 취약 분야에서 고용안전망을 강화하고 양질의 일자리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그간의 정책 추진현황과 향후 계획도 함께 보고됐다.

김용기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은 “한국판 뉴딜의 디지털·그린 뉴딜과 고용 및 사회안전망은 창과 방패 같은 역할을 한다”며, “디지털·그린뉴딜은 새로운 성장동력을 자극하며 경제·산업구조의 재편을 촉진하고, 이러한 새로운 시대의 물결을 유연하게 헤쳐나가려면 고용 및 사회안전망이 잘 갖춰져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