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고픈 사람이 돈이 없어서 빵을 먹을 수 없다면 그 사람에게 무슨 자유가 있겠느냐”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한 말이다. 그는 사회적약자가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 진정한 자유를 실현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기존 보수세력이 주창하던 고전적 ‘자유’의 의미와는 다른 이른바 ‘배고픈 이가 빵을 사먹을 수 있는 자유’를 강조하면서 노선변화를 예고했다.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경기가 하강국면에 접어들자 사회적경제기업들도 큰 타격을 입었다. 하지만 위기는 곧 기회라고 했던가? 위기 속에서도 사회적 약자 보호와 사회적 가치 추구라는 시대정신은 사그라들지 않았다. 오히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그린뉴딜 등 환경문제가 사회 주요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생태환경을 중시하고, 지역사회와 상생하며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을 돕는 사회적경제기업의 역할이 더욱 요구될 전망이다. 

사회적경제기업이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연대와 협동을 더욱 확대해야 한다. 사회적경제주체들간 연대와 협동은 물론이고, 영역 확장이 필요하다. 시민사회와의 상생도 중요하다. 

지난 9일 GSEF(국제사회적경제협의체)가 ‘코로나19 위기상황에서의 사회적경제의 도전과 전략 모색’을 주제로 개최한 웨비나에서 조주연 서울시사회적경제지원센터 센터장의 발언에서 변화의 흐름을 읽어낼 수 있다. 서울사경센터는 앞으로 단순히 사회적경제기업의 수와 규모를 늘리는데에만 집중하지 않고, 시민들과 함께하는 활동량을 규모화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시민이 사회적경제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사회적경제 지원정책의 대전환을 천명한 것이다.

특히 “폐업 위기에 내몰린 소상공인들을 사회적경제주체로 전환하는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은 지역 순환경제를 형성해 시민들에게 훌륭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사회적경제계가 일조하겠다는 선언이다. 시민사회와 함께하면 사회적경제기업 성장 가능성은 더욱 커질 것이다.

코로나19로 반세계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개인의 파편화도 심화되고 있다. 사회적경제가 그간 추구해온 연대와 협동의 가치가 더욱 필요한 시기다. 연대와 협동은 사회적경제기업을 위기에서 구하고, 사회의 퇴보를 막는 방파제가 될 것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사회적 경제계의 주도적인 역할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