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모 언론사와 검찰의 유착 의혹이 불거졌다. 이에 검찰이 28일 이 언론사의 본사 압수수색을 시도했다. 검찰은 이곳을 제외한 나머지 4곳의 압수수색을 마쳤다. 기자들의 반발에 부딪혀 이 언론사의 본사 압수수색은 진행하지 못했다(29일 기준). 이 언론사 기자들은 검찰의 압수수색에 대해 언론 탄압이라며 맞섰다. 

한 언론사 압수수색 사태를 보면,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언론의 잘못된 행태가 검언유착이라는 결과로 이어진 것만 같다. 언론 전반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느끼지만, ‘언론의 자유’라는 명제 아래 언론에 채찍을 강제할 수 없는 현실이 씁쓸하다.

그러면서도 ‘언론의 자유’를 최대한 보장해야 한다는 의견에 동의한다. 그래서 더 혼란스럽다. 분명 문제가 있고, 변화가 필요한데 그 방법을 모르겠다. 

문득, 언론계 선배의 말이 떠올랐다. 

“일 잘하는 언론에 지원을 더 해주면 좋은 언론이 많이 생길텐데”

의외로 언론을 바꾸는 방법은 단순할지도 모른다.

우선 국가는 할 수 없는 일이다. 국가가 언론을 선별해 지원하면, '어용' 언론을 양성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선별적 지원이 ‘언론의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가 될 수 있다. 

대신 국민이라면 언론에 인센티브를 주는 일이 가능하다. 인센티브는 국민의 ‘지지’라고 말하고 싶지만 그렇지 않다. 국민이 줄 수 있는 인센티브는 지지로부터 발생하는 ‘돈’이다. 

몇몇 극단적인 주장을 일삼는 1인 유튜버를 보자. 그들은 국민에게 보편적으로 지지받지는 않지만, 꾸준히 활동을 이어간다. 그들은 비교적 적은 지지자를 갖고 있다. 대신 지지자는 열성적이며, 후원계좌로 돈을 보내는데 주저함이 없다. 유튜브의 조회수로 발생하는 수익도 적지 않다. 이게 그들이 활동을 이어갈 수 있는 이유이자, 활동의 목적이다.

안타깝지만, 언론에 필요한 건 단순한 지지가 아니다. 지지에서 비롯된 돈이다. 1인 유튜버는 지지를 돈으로 환산했기 때문에 생존했다. 언론도 마찬가지다. 많은 지지를 이끌어내는 것은 물론이고, 지지를 돈으로 바꾸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 시스템은 언론이 좋은 뉴스를 생산하는 유인책이 될 수 있다. 오마이뉴스와 같은 자발적 후원도 좋고,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월스트리트저널와 같은 부분유료화도 고려 가능한 대안이다. 더 혁신적인 시스템이 있다면 그것도 좋다.

다만, 이와같은 대안을 고려하려면 국민이 무엇이 좋은 언론인지 판단할 능력이 있다는 전제가 필요하다. 국민은 그 시스템 속에서 자신의 지지를, 돈을 보낼 곳이 어딘지 신중히 판단해야 한다. 지지를 받을만한 가치가 없는 곳에 돈을 낭비해서는 곤란하다.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