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지자체, 민간기업은 코로나19로 위기에 놓인 사회적경제기업의 유통지원을 위해 여러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시장경제가 침체되고 있다. 오프라인 매장을 찾는 사람이 줄었고, 여행·교육 등 서비스업은 이용 고객이 거의 없다. 업계에서는 "폐업까지 고려해야 하는 기업이 늘고있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공공·민간에서는 사회적경제조직을 살리기 위해 인건비 선지급, 특별융자 등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그중 사회적경제조직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유통·판로 지원이다. 사회적경제 코로나19 대응본부(이하 대응본부) 조사결과 공공부문 판로지원(34%)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가장 컸다.

이에 화답하듯 공공·지자체·민간기업 등에서는 가치소비(사회적소비)를 확대하기 위한 판로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대응본부는 코로나19 피해 사회적경제기업을 위해 사회적소비 활성화 방법을 고민중이다. 우체국, 코레일 등 공공기관은 온·오프라인 특판행사를 열었다. SK스토아 등 민간기업은 제품 판매수수료를 면제했다. 지역의 유통지원센터는 판매되지 않은 제품을 온라인으로 판매한다. 충남지역 사회적경제기업의 유통을 지원하는 충남따숨상사협동조합 류승민 실장은 “충남은 농산물 생산유통이 많은데, 개학 등이 연기 되면서 납품할 곳이 마땅치 않아 폐기해야 하는 상황이다. 온라인 등에서 제품을 판매하는 등 여러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이후 (사회적경제)기업은 지속가능한 경영을 고민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공공·민간 등 외부 지원도 필요하지만, 생존을 위해 지금부터는 기업 당사자가 직접 나서야 한다. 지원정책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기업 자체적으로도 '제품을 잘 팔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일시적으로 기업 운영비를 지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으로 지속가능한 경영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사회적경제기업이 생산한 제품·서비스의 소비를 활성화 시켜야 하는거죠.” (하재찬 한국사회적경제연대회의 지역위원장)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