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할머니(85세)는 최근 초기 치매를 진단받았다. 서울로 모시려 했지만 마을에 친구들이 있다며 이사를 거부해, 어쩔 수 없이 할머니의 이웃에게 가끔 들여다봐 줄 것을 부탁했다. 할머니는 식사 등 움직임에는 불편함이 거의 없다. 이웃이 오가며 정서적 돌봄을 하고, 간혹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빠르게 상황을 전하고 대처한다.

초고령화 사회 진입을 앞두고 돌봄수요가 늘고 있다. 적지 않은 지인들은 할머니(할아버지)를 누가 어떻게 돌볼 것인가를 고민한다. 정부는 답을 ‘지역’에서 찾았다. 지역의 서비스 제공 주체를 연계해 노인이 살고싶은 곳에 살면서 원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사회서비스분야 사회적경제조직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민간과 공공의 중간에 있는 사회적경제조직은 고품질의 서비스를 공정하고 투명하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강민수 서울시협동조합지원센터장은 “사회서비스분야 사회적경제조직은 과도하지 않으면서도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긍정적”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도 사회서비스 제공 주체로 사회적경제기업을 강조하며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지난해 11월 청와대에는 사회적경제를 통한 사회서비스 활성화 회의구조를 만들기도 했다.

현장에서도 사회서비스 통합 제공을 위한 자체적인 움직임이 나타나는 분위기다. 김초환 안산 커뮤니티케어 추진위원장·안산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부이사장은 “이전에는 복지전달체계가 나눠져 있었지만, 지금은 사회적경제조직으로 통합돼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조가 만들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지금부터는 사회적경제조직이 역할을 할 차례다. 정부·지자체 등 공공의 지원을 바탕으로 지역의 사회서비스 사회적경제조직과 연계해 그동안 분절적으로 제공됐던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이는 기자의 할머니를 비롯해 돌봄이 필요한 대상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돌봄 주체로 지역 공동체에 주목해야 한다. 이는 한국 사회가 선진국으로 도약하는 밑걸음이 될 것이다.”(임종한 한국커뮤니티케어 보건의료협의회 상임대표)

저작권자 © 이로운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